기업명
IRGO
등록일
2019-01-08

IR담당자 답하다! 퓨어스템 씨디주에 대한 질문 (강스템바이오텍)

 

추천정보_Q&A.jpg

 

< 투자자 질문 >

퓨어스템 CD는 크론병 치료제이고 동시에 건선 치료제인가요?

그리고 다른 임상 결과가 나오고 있는데 크론병 임상 결과는 왜 나오지 않나요?

효과가 없어 중단했나요?

 

< IR담당자 답변 > 

퓨어스템 씨디주 관련 내용 말씀 드리겠습니다. 


1. 퓨어스템 씨디주의 적응증(Indication)을 건선으로 확대한 것이 맞습니다. 

건선은 현재 1상 투약이 끝나고 1개월 관찰중입니다. 

관련 내용은 추후에 공유할수 있으면 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건선은 상업성에 근거한 전략적인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이라기 보다는 기존 치료제의 적응증 확대를 통해 몇가지 사안을 확인해 보는 시험적 성격이 강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선과 관련해 회사가 기대하는 바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1) 최초의 2억셀 고용량 임상의 안전성 테스트

퓨어스템의 특징중 하나가 세포치료제로는 드물게 용량상관성이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즉, 용량이 증가하면 치료 효과도 증가하는 특징입니다.

따라서, 현재까지 지속된 임상에서도 용량은 조심스럽게 늘려가는 중입니다.

아토피에서는 5천만셀, 류머티스에서는 1억셀까지 시도해봤습니다.

건선에서 최초로 2억셀 고용량군을 시도해 보는 중입니다.

 

2) 기능성 첨가물을 통한 기능 향상

건선의 원인은 면역체계의 과활성화로 발생된 과도한 활성산소 입니다.

장기적인 프로젝트로 활성산소를 줄이는 첨가물을 통해 기능을 Enhance하려는 계획도 있습니다.

핵심은 건선 관련 임상결과가 될거 같습니다. 


2. 씨디주의 크론병 임상 진행상황입니다. 

크론병 관련 임상이 부진한 건 사실입니다. 그러나, 임상이 중단된건 아닙니다. 

임상이 부진한 이유는 치료제 자체의 문제는 아닙니다. 

환자 모집이 난황을 겪어서입니다. 

크론병은 유전적인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도 중요하나, 육류 중심의 식생활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에 따라 동양보다는 서구에서 더 빈번히 발병하는 질병입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2017년 의료보험 청구자료기준 2만6천명에 불과한 환자가 존재합니다.

이 환자중에 중증이고, 기존 치료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저희 치료제를 임상시험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국내에서 환자 모집이 여의치 않은 것은 사실입니다. 

현재 부족한 환자수는 1명입니다. 최대한 노력해서 1상은 빠른 시일내에 종료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이후 계획은 내부적으로 결정해서 공유토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크론병은 국내와 달리, 미국 질병관리국 통계에 따르면 미국에만 78만명, 서구 인구 3.3억명중 6,600만명이 잠재 환자로 파악되는 질환이고, 현재 치료제도 마땅치 않은 상황이라 회사에서는 상업성에 대해서는 기대를 하고 있는 파이프라인입니다.

 

또 다른 질문 보러가기.png

 

 

본 내용은 참고정보로, 최종 투자 판단의 책임은
본 게시물을 열람하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